1. 박스의 틀을 만드는 방법 |
1) 박스는 어떻게 성형 하는가? |
박스는 사각형의 넓은 종이에 원하는 규격대로 제품을 잘라 제품을 접합하여 완성합니다. 이러한 규격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톰슨공정을 거쳐야 하는데요. 톰슨공정에서 규격대로 잘라내기 위한 목형이라는 작업도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박스의 성형에 필요한 이 두가지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
종이박스는 다른 패키지와는 다르게 형상화 할 수 있는 유연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장점이 있는 이유는 모든 공정이 구분되어 개별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이지요. 기획 단계에 설계된 도면을 토대로 제품이 성형 되는데 이 공정을 Die Cutting(톰슨)이라고 합니다. 톰슨공정은 간단하게 설명하면 종이를 찍어 누를 수 있도록 고안된 프레스기계를 목형을 투입하여 원하는 형태로 성형하는 작업입니다. 목형은 제작하려는 제품의 고유한 사이즈와 형태로 성형을 위한 필수적 요소가 되며, 한번 제작이 되면 오랜 기간동안 사용 합니다. |
|
2) 톰슨작업에 꼭 필요한 목형 |
 |
목형이란 박스를 제작하기 위해 기획된 도면을 실제 종이에 구현하기 위해 만들어진 일종의 틀같은 개념 입니다. 기획 과정에서 설계된 도면을 토대로 샘플링을 구현한 후, 최종 확정이 되면, 실제작업을 위한 목형 설계가 이뤄지는데요. 지종, 접는선, 미싱 등 박스의 외형적 성형 완성도를 결정하기 위해 잡아야 하는 공차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목형은 박스를 제작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
|
3) 박스 목형을 제작 프로세스 |
(1) 도면 설계 |
 |  |
박스를 제작하기 위해 패키지 제작업체와 심도있는 기획이 필요합니다. 기획이 확정된 후, 이를 토대로 제품 도면을 설계하게 됩니다. 도면은 캐드나 박스도면 전문 프로그램을 사용하며, 전문가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빠르고 정확한 설계가 중요합니다. 기획 단계에서 예상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된 경우, 대안방법을 찾고 도면을 완성하게 됩니다. |
|
(2) 가시안 샘플 제작 확인 |
 |  |
도면을 제품이 펼쳐져 있는 평면도입니다. 이를 실제로 구현해 보지 않는다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겠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샘플링 제작을 진행합니다. 샘플 제작이 진행된 박스를 보고 규격적으로 이상여부를 확인 하게 됩니다. 기획자는 안에 들어가는 제품이 잘 들어가는지, 기획한 의도대로 구현이 되었는지 확인 후 이상이 없다면 이 도면을 바탕으로 디자인 작업을 진행합니다. 흔히 이 도면을 '칼선'이라고 하며 칼선 위에 기획된 디자인이 이상없이 제작되었다면, 박스 제작의 준비는 완료 된 것입니다. |
(3) 목형 제작 |
- 목판 레이저 작업과 칼작업(벤딩) |
 |  |
샘플링에서 이상없음을 확인하면, 발주를 진행합니다. 박스제작업체는 박스를 한번에 다량 생산 하기 위해 필요한 목형 작업을 진행합니다. 목형 작업은 너른 목판과 칼의 조합입니다. 목판에는 칼을 끼워 넣기 위한 홈을 파게 되고, 칼은 칼선에 맞도록 조각된 칼을 제작합니다. |
- 목판과 칼 접착 작업 |
 |  |
목판과 칼이 제작 완료되면 이를 끼우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목판을 끼우는 작업은 수작업으로 진행이 되며, 조각된 칼을 정확한 위치에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숙련된 기술자가 이를 수행합니다. 완성이 되면 혹여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본딩작업이 동시에 이뤄지며, 이로서 박스 성형을 위한 목형작업이 완성됩니다. |
(4) 톰슨 작업 |
- 면방 작업과 세팅 |
 |  |
목형을 톰슨 기계에 결합하여 박스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셋팅이 필요합니다. 접히는 부분을 좀 더 명확하게 만들기 위한 면방작업, 종이에 칼이 완벽하게 들어가서 잘 탈지 되는지 등을 셋팅합니다. 이 작업이 중요한 이유는 박스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성형이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이 작업이 소홀하게 이뤄지면, 터짐현상이나, 깔끔한 마감처리가 안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섬세함이 요구됩니다. |
- 급지 준비 및 작업 진행 |
 |  |
셋팅이 완료되었다면, 톰슨기의 가동을 준비하고 작업을 진행합니다. 인쇄된 제품을 급지하고, 종이가 한장씩 목형위에 종이를 투입되도록 합니다. 목형과 종이가 눌러지면서 불필요한 종이는 잘리도록 하고, 접히는 부분은 잘 눌리도록 압조절을 합니다. 종이는 습기, 제품의 LOT마다 편차가 있기 때문에 같은 제품이라도 셋팅값을 다르게 잡아야 합니다. 그래서 숙련된 기술진들이 작업해야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
- 자동 or 수동 탈지 |
 |  |
제품의 작업이 완료되면, 불필요한 종이를 제거하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를 탈지작업이라고 하며, 탈지 작업은 기계에서도 이뤄질 수 있습니다. 이는 대게 제품의 수량과 제품의 형태에 따라 빠른 작업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과거 망치로 탈지작업을 진행한 것에 비해 탈지기계가 있어 비교적 쉽게 제거가 가능합니다. |
|
|
※ 목형의 수명 |
 |
목형의 수명은 길게는 1~3년까지도 사용 가능하며, 관리가 잘 된다면 더 긴 시간동안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목형이라는 소재적 특성 상, 판의 휨이 발생하거나, 칼의 산화로 인한 문제, 사용량이 많아서 발생하는 마모의 문제 등으로 사용 기간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목형은 부피가 크기 때문에 업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기간을 대부분 1년으로 제한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발주가 1년 주기라면 업체에 목형 폐기 여부 및 상태를 확인이 필요합니다. |
목형제작 | 박스제작 시 박스를 성형하는 방법
목형제작 | 박스성형 | 박스제작
제작비가 별도라고 하는데.. 제작비가 무엇인가요?
박스를 처음 제작 할 때 업체에서 1회성으로 제작비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지요? 하지만 이것이 무엇에 쓰이는 제작비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거에는 인쇄를 하기위해 필름이라는 작업을 진행했었지만, 최근에는 CTP라는 기술이 보급되어 필름작업이 필요 없어졌기 때문에 제작비가 발생되지 않습니다.(만약에 필름비용을 요구하는 경우는 CTP판으로 작업해 달라고 요구하세요!)
실제로 박스 제작에 있어서 필요한 기본적인 제작비 중 하나는 목형입니다. 목형은 넓은 목판위에 칼을 넣을 수 있는 홈을 판 후, 도면 사이즈로 칼을 삽입하여 박스를 형상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그럼 박스컴퍼니와 함께 목형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톰슨(Die Cutting) 공정에 대하여
1. 박스의 틀을 만드는 방법
1) 박스는 어떻게 성형 하는가?
박스는 사각형의 넓은 종이에 원하는 규격대로 제품을 잘라 제품을 접합하여 완성합니다. 이러한 규격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톰슨공정을 거쳐야 하는데요. 톰슨공정에서 규격대로 잘라내기 위한 목형이라는 작업도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박스의 성형에 필요한 이 두가지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