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키지 마케팅]종이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 | 테트라팩 이야기

2025-06-04
조회수 1652

종이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 | 테트라팩 이야기



박스제작:

박스컴퍼니가 알려주는

종이의 한계를 극복한

테트라팩 이야기

테트라팩




연세우유 테트라팩


두유는 종이로 만든 패키지인데 상온에서 견딜 수 있나요?


혹시 두유는 방부제를 많이 사용한 것은 아닐까요?

우유는 냉장보관을 해도 유통기간이 짧은데 두유는 상온에서 1년 이상 보관이 가능한데..

정말 아이러니하게도, 두유는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단지 멸균처리를 하여 제품에서 증식할 균을 완전히 제거하기는 하지요. 하지만 외부에서 균이 침입되는 것은 완벽히 막아줍니다. 이유는 상온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포장의 기술력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포장 기술력은 이미 오래전부터 검증되어 있으며, 우리 생활 속에 깊이 파고들어 있습니다. 종이의 한계는 과연 어디까지 일까요? 

박스컴퍼니가 종이 포장재의 신기한 이야기를 여러분들과 함께 풀어보려고 합니다. 

                                       







1. 우유가 종이팩에 담겨지기까지..

 1) 유리병에 담겨서 판매되었던 유제품

과거 서울우유 패키지

델몬트 유리병패키지
 과거 오렌지쥬스에 보리차 물을 담아서 먹었던 기억이 있으실 겁니다. 이는 유리병만큼 제품의 밀봉성이 좋기 때문이죠. 하지만 유리병이 가지는 단점은 굉장히 명확합니다. 첫째, 유리병 제작 비용이 비싸고 회수율이 적다는 점, 두번째는 무겁고 깨지기 쉽다는 점 입니다. 사업을 운영하는 회사의 입장에서 이러한 단점들이 제품의 원가를 올리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대체재에 대한 갈망이 매우 높았던 것이 사실입니다.  



2) 한계로만 생각했던 종이의 액체 담기
우유팩패키지
 종이는 수분에 취약한 소재입니다. 이 한계로 종이는 드라이품목에만 적용될 수 밖에 없는 현실이었죠. 하지만 소재기술의 발달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시작했습니다. 일단 이는 플라스틱 소재의 유연성에서 비롯되었는데, 플라스틱을 매유 얇은 필름으로 제조가 가능해지면서 종이와 필름의 증착기술이 가능해 지기 시작했습니다. 종이와 필름의 증착은 결국 종이의 단점을 보완하는 중요한 열쇠가 되었고, 종이가 수분에 취약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열쇠가 되었습니다. 



 2. 테트라팩의 패키지 혁명

 1) 국내 패키지 혁명의 시작 - 커피 포리

테트라팩테트라팩
 현재도 판매되고 있는 삼각형 모양의 커피제품을 알고 계신가요? 이 패키지는 상당한 역사를 자랑하고 있으며, 삼각형 패키지의 상징적인 제품입니다. 이러한 삼각형 패키지는 국내에 72년도에 처음 배포가 되었는데, 유리병에서 종이팩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패키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삼각형 패키지는 테트라팩이라는 미국의 패키지 제조업체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 이는 병과 같이 완성된 패키지에 제품을 담는 것이 아닌, 제품을 담으면서 패키지를 개발한다는 점에서 혁신적인 부분이었다. 산업화의 발달로 대량생산체제가 급속히 확산되면서 이러한 패키지는 생산성의 증대와 밀봉의 개념을 혁신적으로 개선하였습니다. 



  2) 밀봉의 혁신 - 아셉틱 기술

테트라팩
 유제품의 패키지를 보면 멸균유, 고온살균 등 균에 대한 정보가 나열된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품의 맛은 보존하면서도 균을 상온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제품의 신선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단, 상온의 정도로 균을 죽이는 방식이 정해지는데 100도가 넘어가면 멸균이라하여 상온에서도 제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하는데 이러한 기술을 테트라팩에서 처음 개발하였고, 이를 아셉틱 기술이라 합니다. 이러한 기술로 인하여 제품을 오랫동안 유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패키지의 혁명이라 일컬었고, 현재는 식품포장 전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3) 종이의 한계를 극복하다 - 테트라팩의 멸균팩

테트라팩
 유리병으로 사용하고 있던 액체포장 산업에서 종이팩으로의 변화는 포장기술의 혁신과도 같은 것이었습니다. 유리병의 단점을 거의 모두 극복했기 때문이죠. 종이팩이라는 점에서 원가 절감, 무게와 부피를 혁신적으로 감소, 보관기간의 증가 및 친환경성까지 뭐하나 빠지는 것이 없는 완벽한 패키지입니다. 흰우유를 담는 냉장보관용 테트라팩의 경우 종이 재질에 얇은 필름을 붙여 종이가 수분에 직접적으로 닿지 못하게 하면서도 밀봉성을 갖추도록 하여 제품을 개선하였고, 상온에 보관하는 멸균유의 경우 얇은 알류미늄지를 추가로 붙여, 직사광선까지 차단을 하기 때문에 상온에서도 식품의 변화를 원천적으로 차단시킵니다. 상온에서 식품을 보관할 수 있다는 것은 생각보다 많은 장점이 있는데, 냉장으로 쓰이는 전력을 쓰지 않아 유통비용과 보관비용이 감소하며, 이는 원가 절감과 환경 보호에 긍정적인 효과를 줍니다. 


4) 테트라팩의 한계

테트라팩테트라팩
 테트라팩을 찬양하듯 글을 썼지만, 실제로 테트라팩의 한계는 존재합니다. 가장 큰 문제는 대량생산 설비가 있어야 테트라팩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설비를 구축하는 것은 소기업에서는 절대적으로 불가능하며, 외주 생산 등을 고려하더라도, 최소수량이 매우 많기 때문에 테트라팩을 사업초반에 적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또한 규격화 되어 있고 규격을 달리 했을 때 비용적인 부분도 상당히 비싸기 때문에 제조업체가 신제품을 출시하더라도, 패키지의 용량은 동일하게 가져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제품의 생김새를 변경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3. 종이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

1) 코팅으로 내습을 해결하라

테트라팩
 종이에 코팅을 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한가지는 액상을 바르는 방법과 필름을 증착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액상을 바르는 것은 완전한 내습력을 갖지 않습니다. 액상도 내습코팅과 내유 코팅이 있지만, 특수 코팅의 영역이기 때문에 인쇄가 되지 않는 테이크아웃 패키지에 주로 사용이 됩니다. 이외의 코팅은 내습의 기능보다는 외관의 광도로 고급감을 표현하고 인쇄면의 스크레치 등을 방지하는데 주로 사용이 됩니다. 라미네이팅 코팅은 종이와 필름의 증착으로 고급감을 표현함과 동시에 종이의 내습성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라미네이팅 코팅은 종이로 만든 패키지가 좀 더 넓은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줄 수 있는 요소가 되며, 실제로 종이 패키지의 필름 작업이 가능해지면서 식품용기, 냉동, 냉장 용기에 널리 사용이 가능해 졌습니다.


박스컴퍼니가 알려주는 코팅공정 이해하기



2) 코팅 적용 사례 : 냉장, 냉동 패키지

테트라팩냉동제품 패키지(라미네이팅코팅 제작)
테트라팩 테이크아웃 패키지(라미네이팅 코팅 제작)
 테트라팩과 같은 패키지는 테트라팩 제조설비 시설이 있어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종이소재로 완벽한 밀봉 작업을 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커스텀할 수 있는 칼라박스의 경우 내습력을 강화하여 다양한 용도에서 활용 될 수 있습니다. 냉동 냉장식품의 RRP박스나, 냉동피자 제품도 모두 종이소재를 이용한 박스로서 이미 그 내구성을 검증받았습니다. 박스컴퍼니에서는 소비자가 구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패키지를 제작하여 경쟁력 있는 패키지를 컨설팅하고 제작해 오고 있습니다. 당신이 원하는 그 패키지, 박스컴퍼니에서 실현시켜 보세요 :)   










📦 박스컴퍼니의 다양한 박스제작 샘플이 보고 싶으시다면 

박스컴퍼니 포트폴리오 페이지를 방문해 주세요!


박스컴퍼니 포트폴리오 바로가기




📦 박스컴퍼니와 함께 패키지를 제작해보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페이지로 문의 주세요!

💡1:1 맞춤 컨설팅 | 각종 패키지 제작 전문 업체


박스컴퍼니 박스제작 문의하기